-
웹 성능 메트릭이란?프론트엔드 2023. 6. 15. 15:49
웹 성능 메트릭
웹 페이지나 웹 어플레키에션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를 말한다.
이러한 지표들은 사용자 경험, 웹 사이트 로딩 시간, 서버 반응 시간 등 다양한 요소를 측정하고 분석하는데에 사용된다.
이러한 분석을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.
웹 성능 메트릭의 유형
웹 성능 메트릭에는 크게 두 가지의 유형이 존재한다.
사용자 경험 메트릭(User Experience Metrics)
말 그대로 사용자 경험을 중점으로 측정한다.
사용자 경험 메트릭에는 페이지 로드시간, 인터랙티브 시간, 컨텐츠 표시 시간 등이 있다.
- First Contentful Paint (FCP): 브라우저가 페이지의 첫 번째 콘텐츠를 렌더링하기까지의 시간
- Time to Interactive (TTI): 페이지가 완전히 인터랙티브해지기까지의 시간
- Largest Contentful Paint (LCP): 뷰포트 내에서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렌더링되는 데 걸리는 시간
기술 메트릭(Technical Metrics)
기술적인 측면에서 웹 사이트의 성능을 측정한다.
기술 메트릭에는 첫 바이트의 시간, 요청 수, 전체 페이지 크기 등이 있다.
- Time to First Byte (TTFB): 브라우저가 첫 번째 바이트를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
- Total Blocking Time (TBT): 사용자 입력에 반응할 수 없는 시간의 총합
- Cumulative Layout Shift (CLS): 페이지가 로드되는 동안 레이아웃이 얼마나 많이 이동하는지 측정
끗!
728x90반응형'프론트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sconfig.json 과 tsconfig.node.json의 차이 (0) 2023.07.19 번들러 내부에 있는 external 옵션의 역할 (0) 2023.07.19 CSR / SSR / ISR / Universal Rendering 이란? (0) 2023.06.14 Critical Rendering Path(크리티컬 렌더링 패스)란? (0) 2023.06.09 build 시 대소문자 구분 이슈! 비상! (0) 2023.03.15